오늘은 척추가 옆으로 휘어지는 병, 측만증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자. 측만증은 단지 등쪽에서만 생기는 질환은 아니다. 목, 등, 허리, 척추를 포함해서 골반과 하체에까지 우리 근골격계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특히 등 부위의 변형이 가장 현저하게 관찰되기 때문에 등 통증을 이야기 하는 시간에 다루는 것이 더 적당할 것이다.

측만증은 그 휘어지는 각도가 10도 미만일 때를 정상 범위로 간주 했을 때 전체 인구의 2-3% 정도가 가지고 있는 질환이다. 종류는 크게 비구조적(기능적) 측만증과 구조적 측만증 두 가지로 나뉘는데 그 분류기준은 휘어짐(측만)이 어떠한 조건 변화에도 항상 존재하는지 아니면 조건이 바뀌면 없어지는지에 따른 것인데, 없어지면 비구조적인 측만증, 없어지지 않고 늘 있으면 구조적인 측만증 이다. 비구조적인 측만증은 그 원인이 구조 자체에 있기 보다는 다리 길이가 다르거나 골반의 틀어짐, 근육의 불균형, 바르지 못한 자세의 결과로 인해 측만이 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원인들이 해결 되면 측만도 없어지게 되어 있다. 그러나 구조적인 측만증은 그렇지 않다. 원인과 결과 사이의 관계도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고 결과로 나타난 ‘측만’이라는 것이 되돌리기 쉽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전체 측만증에서 구조적 측만증이 차지 하는 비율은 85%가 넘어간다. 그래서 보통 측만증이 라고 하면 자세가 좋지 않아서, 골반이 틀어져서 라고 알기 쉬운데 실제로는 그런 것과는 상관없이 측만증이 생기는 경우가 대다수라는 것이다. 구조적인 측만증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 하는 것이 ‘원인을 알 수 없다’는 의미의 특발성(Idiopathic)측만증 이다. 특발성 측만증은 유아기부터 청소년기까지 주로 발생하며 그 중 90%는 10대 때 발생한다. 원인은 현재 까지는 유전적인 원인이 주된 원인일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부모 중 1명이 특발성 측만 증이었을 경우 30%, 둘 다였을 경우에는 자녀의 40%가량이 측만증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 되고 있다. 구조적 측만증의 치료는 쉽지 않다. 지금까지는 만곡의 각도가 20도에서 40도 정도의 측만증 환자에게는 보조기(Brace)착용이 가장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고 40도가 넘어 가면 수술을 고려 해봐야 한다.

그렇다면 측만증은 항상 등 통증을 유발하는 것일까? 사실 구조적 측만증, 그 중에서도 특발성 측만증을 가진 환자들은 통증을 거의 호소 하지 않는다. 그러나 모든 근골격계 질환이 그렇듯이 나이가 들어 감에 따라 발병율이나 통증의 강도가 더해 진다. 그래서 구조적이든 비구조적이든 간에 50세를 넘어가면서 통증이 심해질 수 있다. 특히 비구조적 측만증은 그 원인이 근육 불균형이라든가 골반의 뒤틀림 그리고 허리 통증과 같은 근골격계의 기계적, 기능적 결함과 관계가 있으므로 더욱이 등 통증 유발 요소는 항상 잠재 되어 있기 마련이다. 이런 문제들이 오랜 세월을 지나면서 악화되고 또 퇴행성 변화와 함께 진행되게 되면 통증은 더 심해질 수 있다. 또 청소년기에 구조적인 측만증을 이미 가졌던 사람들도 나이가 들어가면서 퇴행성 변화가 빨라지고 중력에 의한 압력으로 근골격계의 균형이 한쪽 방향으로 쏠리게 되면서 통증이 발생할 수도 있는 것이다.

측만증은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 조기에 빠른 치료만이 진행속도를 늦추거나 멈출 수 있기 때문이다. 여러분이나 여러분의 자녀들을 거울 앞에 세워 보라. 어깨 한 쪽이 유난히 기울어져 있거나 머리가 기우뚱 하며, 몸을 앞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뒤쪽에서 관찰 했을 때 날깨뼈 한쪽이 돌출 되어 있고, 또 골반의 한쪽이 올라가 보이거나 코 목젖 배꼽을 잇는 선이 바르지 못하다면 시간을 내어 전문가와 상담하여 보시기를 권한다.